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7월 전기요금 감면 대상 확인해보세요!
무더운 여름이 시작되면서, 전기요금 부담을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특히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는 7월과 8월엔 전기요금이 평소보다 훨씬 많이 나오기 때문에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다행히도 정부와 한국전력공사(한전)에서는 2025년 7월부터 전기요금 감면 혜택을 확대하고, 여름철 한시 누진제 완화도 함께 시행하기로 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지금부터 2025년 7월 전기세 감면 대상과 신청 방법, 주의사항까지 전기세 감면에 대해서 하나씩 친절하게 안내해드릴게요 😊
1. 7월부터 8월까지 ‘누진제 완화’가 적용돼요
여름철에는 에어컨이나 선풍기, 냉장고 같은 전기제품 사용량이 많아지면서 전기요금이 급격히 올라가곤 하죠. 그래서 정부에서는 2025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전기요금 누진 구간을 완화해서 요금 부담을 줄여주기로 했어요.
✅ 어떻게 바뀌나요?
구간 기존 기준 완화 기준 (7~8월)
1단계 | 0~200kWh | 0~300kWh |
2단계 | 201~400kWh | 301~450kWh |
3단계 | 401kWh 이상 | 451kWh 이상 |
예전보다 1단계 요금 구간이 넓어졌기 때문에, 같은 양의 전기를 사용해도 훨씬 적은 요금을 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4인 가족 기준으로 월 평균 406kWh 정도 사용하면, 이번 완화로 약 18,000원 정도 절약된다고 해요.
📌 주의사항: 누진제 완화는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적용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2. 취약계층 전기요금 감면도 확대됐어요
정부는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해 전기요금 감면 혜택도 강화했어요. 특히 7월부터 9월까지는 감면 한도가 높아져서, 해당되시는 분들은 꼭 확인해보셔야 해요.
✅ 감면 대상자와 혜택 금액
대상 기본 감면 여름철 감면 (7~9월)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 월 16,000원 | 월 20,000원 |
주거·교육급여 수급자 | 월 10,000원 | 월 12,000원 |
차상위계층 | 월 8,000원 | 월 10,000원 |
장애인·국가·독립유공자 | 월 16,000원 | 월 20,000원 |
다자녀 가구(3자녀 이상) | 30% 감면(최대 16,000원) | 최대 20,000원 |
생명유지장치 사용자 | 전기요금의 30% (한도 없음) | 동일 |
감면 혜택은 전기요금 고지서에서 자동 차감되는 방식이에요. 특히 다자녀 가구나 장애인 등록 가구는 감면 비율도 크고 한도도 높으니 꼭 챙겨보세요.
3. 감면 대상자 조건을 확인해보세요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감면 대상자일 가능성이 높아요:
- 기초생활수급자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 차상위계층
- 장애인 등록자
- 국가유공자 및 독립유공자
- 다자녀 가구 (만 18세 미만 자녀 3인 이상)
- 대가족 (주민등록상 5인 이상)
- 출산 가구 (만 3세 미만 자녀 보유)
- 생명유지장치 사용자 (산소발생기, 인공호흡기 등 이용자)
✔️ 전기요금 감면은 신청이 꼭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꼭 아래 방법으로 신청해주세요.
4. 전기요금 감면 신청 방법 안내해드릴게요
전기요금 감면은 한전에 등록해야 적용되기 때문에, 신청 절차를 간단히 안내해드릴게요.
✅ 신청 방법
- 온라인
-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 → ‘복지할인 신청’
- 또는 모바일 앱 ‘한전ON’ 이용 가능
(안드로이드)
(아이폰)
- 전화 신청
- 고객센터 ☎ 123 (한전 대표번호)
- 방문 신청
- 가까운 한전 지사나 동주민센터 방문
- 구비서류: 수급자증명서, 복지카드, 가족관계증명서 등
📌 감면 등록은 한 번만 해두면 매달 자동 적용되지만, 처음 신청하시는 분은 서류를 꼭 준비해서 신청하셔야 해요.
⚠️ 5. 꼭 알아두셔야 할 주의사항이에요
- 누진제 완화는 모든 가정에 자동 적용되지만, 전기요금 감면은 사전 등록자만 받을 수 있어요.
- 감면 신청은 처리까지 약 1개월 정도 걸릴 수 있으니, 빠를수록 좋아요!
- 감면은 요금 고지서 기준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이번 달 신청하면 다음 달 고지서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아요.
- 명의자와 수급자가 다르면 위임장이 필요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주세요.
🎁 6. 받을 수 있는 추가 혜택도 있어요
전기요금 감면 외에도 다양한 절감 제도가 있으니 함께 참고해보세요:
- 에너지 바우처: 냉방·난방 비용 지원 (연간 최대 701,300원)
- 고효율 가전제품 환급: 에너지 1등급 냉장고·에어컨 등 구입 시 최대 30만 원 환급
- 에너지 캐시백: 전기 절약 실적에 따라 현금성 포인트 지급
- 요금 분할납부 제도: 일시적으로 요금 납부가 어려운 경우, 분할로 낼 수 있어요
✅ 마무리 요약해드릴게요
- 2025년 7~8월엔 전기요금 누진제가 완화돼서 누구나 자동으로 할인 받아요
- 기초생활수급자, 다자녀 가구, 장애인 등은 추가 감면까지 받을 수 있어요
- 감면은 한전 홈페이지나 앱, 전화 또는 방문으로 신청 가능해요
- 바우처·환급·캐시백 등 추가 혜택도 꼭 함께 확인해보세요
올여름 전기요금 때문에 걱정하지 마시고, 꼭 전기세 감면 혜택 챙기셔서 전기세 감면으로 시원하고 경제적인 여름 보내시길 바랄게요🌿전기세 감면관련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물어봐 주세요!